본문 바로가기

정보

2024학년도 대학수능 킬러문항 대비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핫이슈인 킬러문항 관련해서 알아볼텐데요

2024학년도 대학수능이 100일 채 남지 않았습니다.

킬러문항 배제 원칙에 따라 첫 9월 모의고사를 앞두고 있는데요.

수능을 5달 남기고 출제기관 수장이 중도 사퇴하면서 수험생들은 혼란은 커져만 갔습니다.

킬러문항 배제로 인해 N수생들이 28년만에 최대 지원한다고 합니다.

도대체 이 킬러 문항이란 무엇일까요?!

간단하게 말하자면 공교육 과정에는 없는 초고난도 문항을 말하며, 정답률은 보통 5%정도라고 합니다.

킬러 문항이 없어지면서 변별력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까요?!

이주호 부총리겸 교육부 장관은 킬러문항을 없애도 변별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그는 킬러문항을 내야지만 변별력이 가능하다는 것은 사교육의 이익을 대변하는 논리일 뿐이라고 일축하였습니다. 

열심히 공부하여 충분히 풀 수 있는 핵심문항의 수를 늘리면 상위권 변별이 가능하다는 의견입니다.

킬러문항 배제 수능 대비법

오승걸 신임 평가원장은 2024년도 수능에서 공교육 교과 과정에서 다루지 않은 문항은

출제 하지 않는다고 직접 발표 했습니다.

기본 출제 틀은 2023 수능과 동일하며 EBS 연계율을 높이며

올해 국어는 는 윤석열 대통령이 ‘대학 전공 수준의 비문학 문항’이라 콕 짚어 지적한 것에 비춰보면 교과서 내 출제에

더욱심혈을 기울일 것으로 분석이 됩니다.

수학은 대학 교육을 받는 데 필요한 수학적 능력을 측정하도록 출제되며,

단순한 기억이나 암기로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의출제를 지양하고, 교과 특성을

바탕으로 한 이해력/사고력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출제한다.

지나치게 복잡한 계산 위주 문항의 출제는 지양한다.

영어는 교육과정에 근거해 문항 소재를 선정하되 다양한 내용의 대화/담화, 글과 자료를 활용해 문항을 출제한다.

각 문항의 대화/담화, 글은 수험생 배경지식에 부합하거나

배경지식과 언어능력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으로 출제한다. 

도움이 되실지 모르겠지만 이정도까지 제가 아는 선입니다.

9월 모의고사 평가가 관건이 될거 같네요.

9월 모의고사 후 다시 리뷰 남기겠습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수험생들 화이팅!